DoR@Hee의 끄적끄적

파이썬 - 정수, 문자열 본문

공부/Python

파이썬 - 정수, 문자열

DoR@Hee 2019. 3. 10. 22:36

1. 숫자형

- 숫자형이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


1-1 정수, 실수




정수형, 실수형을 사용하는 방법이며,

변수 a에 

정수형 데이터 123,-123등을 담고 

print함수로 출력이 가능하다.


2. 사칙연산(+,-,*,/)

- 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더하고 빼고 곱하고 나누고





위와 같이 사용가능

+ = 더하기 연산자

- = 빼기 연산자

* = 곱하기 연산자

/ = 몫

// = 소수점 아래 버리는 연산자

% =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자



3. 문자열 자료형

- 문자열을 넣는 방법






1. "" :  쌍다움표를 사용해서 저장하는 방법

 2. '' : 따움표를 사용해서 저장하는 방법

3. """ """ : 쌍따움표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해서 저장하는 방법

4. ''' ''' : 따움표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해서 저장하는 방법


문자열을 이런식으로 출력하고 싶은 경우는 Python's

"Python's" 이런식으로 " ' " 또는 ' " '으로 사용한다.




파이썬에서는 \n와 같이 """를 이용해서 문자열 개행을 할 수 있다.



3-1 문자열 연산

-문자열도 숫자처럼 연산이 가능하다.



*를 사용해서 곱하기 연산이 가능하며

+를 사용해서 더하기 연산이 가능하다. 



3-2 문자열 인덱싱, 슬라이싱

-인덱싱은 '가리킨다' 의미이고, 슬라이싱은 '잘라낸다' 의미이다.




위와 같이 문자열 인덱싱으로 문자열의 값을 가져올 수 있으며,

문자열 인덱싱은 0부터 시작

반대로 -1 부터 가능하다 

ex)Life 의 인덱싱은 

0, -4 = L, 

1, -3 = i,

2, -2 = f,

3, -1 = e



슬라이싱은 잘라낸다 의미인대

사용법은

위와 같은 예제로 사용이가능하다


ex) a = year

a[0:3] 에 들어가는값은 year

동일한 방식으로 a[0:]으로도 가능하다


3-3 문자열 포매팅

- 문자열 내의 특정한 값을 바꿔야 할 경우 사용




숫자, 문자, 변수를 바로 대입 할 수있으며, 2개 이상의 값을 넣을 수 도 있다.


코드 

설명 

 %s

문자열 

 %c

문자 1개 

 %d

정수 

 %f

부동 소수 

 %o

8진수 

 %x

16진수 




3-4 문자열 관련 함수



index - 위치를 알려준다.

join - 문자열 삽입

upper - 소문자를 대문자로

lower - 대문자를 소문자로



split() - 문자열 나누기 

()안에 존재하는 문자를 기준으로 나눌수도 있다.



'공부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파이썬 - 딕셔너리  (0) 2019.03.11
파이썬 - 튜플  (0) 2019.03.10
파이썬 - 리스트 자료형  (0) 2019.03.10
파이썬 - 설치 및 파이참 설치  (0) 2019.03.04
파이썬 - 파이썬이란?  (0) 2019.03.04
Comments